logo
SEO 포트폴리오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Mobile-First Indexing) 전략

2024-07-22 퍼스트페이지
image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이란?

구글은 2018년부터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을 공식적으로 도입하여 기존의 데스크톱 중심 인덱싱을 벗어나 모바일 페이지를 기준으로 웹 사이트의 색인 및 검색 순위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모바일 기기로 검색을 진행해 모바일 환경에서 최적화된 웹 사이트가 SEO측면에서도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되기 때문에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을 이해하는 것은 구글 검색 최적화의 핵심 요소로 웹사이트 운영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개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의 개념과 배경

1. 모바일 중심의 검색 환경 변화

최근 몇 년간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인터넷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2020년 기준으로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약 60% 이상이 모바일에서 발생하는 변화로 구글은 데스크톱 중심의 인덱싱 방식에서 모바일을 우선으로 하는 방식으로 전환했습니다.

과거에는 웹 사이트가 데스크톱 버전을 기준으로 색인이 되고 검색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모바일 버전은 보조적인 역할은 했을 뿐 순위 결정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모바일 사용자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면서 모바일 페이지가 데스크톱 페이지와 다를 경우 사용자 경험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버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인덱싱 기준을 도입했습니다.

2. 모바일 퍼스트 도입 과정

  • 2016년: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 개념 발표
  • 2018년: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을 일부 웹사이트에 적용
  • 2019년 7월: 새롭게 생겨난 모든 웹사이트에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 기본 적용
  • 2021년 3월: 기존 웹사이트까지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 전환 완료

현재 모든 웹 사이트는 모바일 버전을 기준으로 색인이 되고 모바일 최적화가 부족하면 검색 순위에서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SEO 최적화를 위해 반드시 모바일 친화적인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존 데스크톱 중심 인덱싱과의 차이점

1. 색인 기준 변경

기존에는 웹사이트의 데스크톱 버전이 구글 검색 색인의 기준이 되지 않았지만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이 적용된 이후 구글은 웹사이트의 모바일 버전을 크롤링하고 색인 하게 되었습니다.

만약 모바일과 데스크톱 버전의 콘텐츠가 다르다면?

모바일 페이지의 콘텐츠가 부족하거나 누락이 되면 검색 순위가 하락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모바일과 데스크톱 버전이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점검해야 합니다.

2. 모바일 사용자 경험(UX)의 중요성 증가

기존에는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자 경험이 검색 순위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현재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이 더욱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합니다.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 중요 요소

  • 반응형 웹 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 적용
  • 모바일 페이지 로딩 속도 최적화
  • 모바일 화면에서 가독성이 좋은 폰트와 레이아웃 구성
  • 모바일 친화적인 내비게이션 및 버튼 크기 조정

3. 구조화된 데이터(Structured Data) 최적화 필요

구조화된 데이터는 검색 엔진이 웹 페이지의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모바일과 데스크톱 버전의 구조화된 데이터가 일관되게 유지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모바일 페이지에서도 메타 태그, 제목 태그, 이미지 대체 텍스트 등이 최적화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모바일 크롤러(Googlebot Smartphone) 사용

기존 데스크톱 중심에는 Googlebot Desktop이 웹사이트를 크롤링 했지만 이제는 Googlebot Smartphone이 기본 크롤러가 모바일 버전을 기준으로 크롤링 및 색인을 하기 때문에 모바일 페이지에서 차단된 콘텐츠가 없는지 확인해야 하며 robots.txt 파일을 점검하여 모바일 크롤러가 중요한 페이지를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 시대, 이제는 필수적인 전략

이제는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이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SEO 전략이 되었기 때문에 모바일 최적화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검색 순위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높아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하고, 모바일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며 페이지의 속도를 개선하는 등의 종합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을 위한 SEO 최적화 전략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이 적용되면서 웹 사이트 운영자들은 모바일 환경을 기준으로 한 SEO 최적화 전략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해야 하는 것은 물론 페이지의 속도와 크롤링 접근성 모두 세밀하게 관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반응형 웹 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 적용

1. 반응형 웹 디자인이란?

반응형 웹 디자인은 기기 화면 크기에 따라서 자동으로 레이아웃이 조정되는 웹 디자인 방식으로 같은 HTML 코드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CSS를 활용하여 모바일, 데스크톱에서 최적화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모바일 웹 사이트를 따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반응형 디자인이 기본이 되었고 구글에서도 반응형 웹 디자인을 가장 권장하는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어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과 SEO 최적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해야 하는 이유

모바일과 데스크톱에서 동일한 콘텐츠 유지하면 모바일과 데스크톱에서 동일한 URL과 콘텐츠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에 최적화 되며 과거에는 모바일 전용 서브도메인(m.example.com)을 따로 운영했지만, 이는 관리가 어렵고 SEO에도 불리하게 작용해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하면 하나의 URL을 유지할 수 있어 페이지 랭크 분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개의 웹사이트를 관리할 필요 없으며 하나의 코드로 모든 기기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보다 편리합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화면 크기에 맞춰 가독성이 자동으로 최적화되어 모바일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속도 및 사용자 경험(UX) 개선

1. 페이지 속도(Loading Speed)의 중요성

모바일 사용자들은 데스크톱보다 더 빠른 로딩 속도를 기대하며 구글 연구에 따르면 모바일 페이지 로딩 속도가 3초 이상 걸리게 되면 53%의 사용자가 이탈한다고 알려져 구글은 2018년부터 모바일 페이지 속도를 검색 순위 결정 요소로 반영하고 있어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리면 검색 순위가 하락하게 됩니다.

2. 페이지 속도를 개선하는 방법

  • 이미지 최적화
  • 고해상도 이미지는 필요하지만 용량이 너무 크면 로딩속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에 JPEG 대신 WebP 포맷을 사용하여 화질을 유지하고 용량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브라우저 캐싱 활성화
  • 브라우저 캐싱을 사용하면 방문자가 페이지를 다시 재접속 할 때 불필요한 파일 재다운로드를 방지할 수 있게 됩니다.

  • 불필요한 리다이렉트 최소화
  • 모바일에서 과도한 리다이렉트가 발생하게 되면 로딩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301 또는 302 리다이렉트를 줄이고 페이지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개선해야 합니다.

사용자 경험(UX) 최적화 방법

1. 터치 친화적인 디자인 적용

모바일 화면에서는 버튼이나 링크가 너무 작으면 클릭하기 어렵기 때문에 버튼 크기는 최소 48px × 48px 이상, 링크 간격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팝업 최소화

과도한 팝업이 나타나게 되면 사용자 경험이 저하될 수 있고 구글에서도 SEO 패널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팝업이 꼭 필요하다면 작은 배너 형태의 팝업으로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 가독성 높은 텍스트 사용

모바일에서는 작은 화면에서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글자의 크기와 줄 간격을 조정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본문 글자는 16px 이상 권장합니다.

모바일 SEO 최적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이 기본이 된 현재에는 모바일 최적화가 선택이 아니라 필수 전략으로 자리잡았기 때문에 구글 검색 순위를 유지하고 트래픽을 확보하기 위해서 모바일 환경에 맞춘 철저한 최적화 전략이 필요합니다.

image
image